티스토리 뷰
목차
많이 판매된 창문형 에어컨 제품 추천하여 '선택 장애'가 오지 않도록 구입하려는 취지에 맞게 잘 구입하고자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이미 많은 창문형 에어컨을 보셨을 테지만 아직 어떤 것을 구입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 많이 판매된 제품을 기준으로 추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창문형 에어컨 핫한 이유
1인 가구가 많아지면서 원룸, 1.5룸 등 가구가 분리 되기 때문이지요. 적은 공간에 사용할 수 있고 잦은 이사로 인한 손해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가전 판매가 많아지고 그중 에어컨 부분은 단연코 창문형 에어컨이라 할 수 있어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지도의 영향인지 어떤 제품, 브랜드를 구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많지 않아 고민이 많으실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르면 돈을 많이 줘라'라는 옛날을 따라 비싼 것으로 고르기엔 우리의 '예산'은 정해져 있기에 가성비 좋고 편리한 제품을 골라야 스마트컨슈머가 될 수 있습니다.
창문형 에어컨 제품 선택 5가지 기준
1. 예산
2. 설치 장소
3. 소음
4. 소비전력
5. A/S
예산
가전제품 구입에 앞서 제일 중요한 것은 예산입니다. 성능, 소비전력 등 많은 옵션이 좋더라도 예산에 맞지 않으면 구입하지 못하고 반대로 예산을 너무 아끼다 보면 생각하지 못한 불편함이 생길 수 있지요.
설치 장소
창문형 에어컨 기기마다 냉방 가능 평수가 정해져 있으며 실제 방 크기보다 조금 큰 평수를 커버하는 에어컨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창문 크기를 잘 알고 기본키트로 설치가 가능한지 추가 키트를 구입해야 하는지도 잘 알아보고 특히 추가 키트로 설치 시 어렵다는 평이 많아 설치기사님 방문까지 생각을 해놓으셔야 좋습니다.
소음
창문형 에어컨의 유일한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소음 부분입니다.
창문형 에어컨 소음이 심한 이유 크게 2가지입니다. 첫 번째, 실내기, 실외기 일체형이라 실외기에서 돌아가는 소음이 생각보다 큰 편입니다. 두 번째, 창틀에 끼는 형태이기에 아주 작은 틈만 있어도 가동 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나게 됩니다.
소비전력
전력 효율 1등급 제품을 가능한 선택, 인버터 형식을 선택하는 것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설치하려는 방의 평수를 정확하게 알고 냉방능력이 커버할 수 있는지도 꼭 확인하셔야 전기세를 아낄 수 있습니다.
A/S
애프터서비스가 좋은 전자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입하기 전 A/S 정책이 어떻게 되는지 꼭 확인 후 구입하되 잔고장이 존재하는지 후기도 꼭 읽어보시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창문형 에어컨 후기
40만 원대 극강의 가성비 제품으로 에어컨의 시초 캐리어 에어컨입니다. 7평형에 1등급 소비전력이지만 제일 착한 가격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 제어가 되지 않고 연장 키트 구입 시 15만 원 가량 추가되고 설치난이도가 높은편이라 설치기사 약 5만원 발생하게 됩니다.
가전제품의 왕이라고 불리는 LG전자입니다. 추천 제품풍 가장 높은 가격대인 90만 원대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찾는 LG 그리고 모터가 들어가면 LG라는 말이 있듯 모터가 있으면 소음 이나기 마련입니다. 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능력을 가진 LG라 소음에 민감하 신분은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믿고 사는 삼성이라는 말이 생긴 대기업 삼성의 제품입니다. 그럼에도 70만 원대의 착한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고 연장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스마트폰 제어가 가능하여 외부에서 집 온도를 미리 낮춰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완벽한 A/S를 장점입니다.
창문형 에어컨 이슈의 시작이라 할 수있는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입니다. 가격은 80만 원대의 높은 편에 속하나 2021년 품절 대란이 있는 만큼 사람이 많이 찾는데 이유가 있습니다. 자가 설치가 가장 쉬운 편에 속하여 타브랜드 대비 설치비가 적게 드는 편이며 전용 스마트폰 앱이 있어 제어하기 좋습니다. 필자의 추천 제품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호이둘리 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풍기 DC 모터 사지않으면 전기세 폭탄 맞는 이유 - 호이둘리 (0) | 2022.08.02 |
---|---|
겜스고 숨은 보석 OTT 공유 플랫폼 안내 (0) | 2022.07.21 |
알뜰통신사 요금 비교 홈페이지 (0) | 2022.06.28 |
알뜰통신사 3년 사용 장단점 후기 (0) | 2022.06.27 |
블로그의 목표 (0) | 2022.06.13 |